"짐이 가볍기를 기원하지 마라. 등이 더 튼튼해지길 기원하라."

시어도어 루스벨트 (Theodore Roosevelt)

Ableton Live/3. 레벨링과 패닝

1. 레벨링과 패닝

노란섬 2021. 4. 8. 19:19
728x90

레벨링 (Leveling)

 

 

컴퓨터의 내장 마이크를 써보자. 우선 나는 맥북을 사용하기 때문에, 맥북 기준으로 글을 써보겠다.

설정->소리에서 적절한 인풋 레벨을 조정해주자. (피크가 뜨지 않게)

 

 

 

 

트랙의 볼륨을 조정할 때, 악기 안에 있는 Output 게인 컨트롤을 만져도 되고, Audio Effect->Utility 를 추가해서 여기에서 게인을 조절해도된다. 이 Utility는 VCA (Voltage Control Amplifier)의 기능으로, 채널 스트립에 있는 볼륨 페이더나, 마스터 트랙에 마스터 볼륨을 조정하지 않고 볼륨을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믹스 단계까지 가지 않았을 경우에는 볼륨을 조정할 때 바로 Track volume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악기의 Output gain / Utility로 먼저 볼륨에 접근해야 한다.

 

패닝 (Panning)

동일한 사운드 정보를 전달해주는 L(좌) R(우) 모니터 스피커가 있다면, 제3 의 모니터 스피커가 있는 것 처럼 소리가 들리게 된다.

*L=left, R=right

 

 

L로 패닝을 하면 R의 볼륨은 다운시키고, L의 볼륨을 높이는 것이다.

 

Linear 타입의 패닝은 종종 스테레오 신호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패닝할 때, 중앙으로 패닝된 스테레오 신호를 더 약하게 만든다는 것을 유의하자.

 

 

 

넓은 스테레오 사운드에 패닝을 엄청나게 줄 때 여전히 일부 볼륨이 변경되는 소리가 들린다면, 트랙에 있는 유틸리티 장치의 100% 아래로 Width를 줄여 그러한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