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이 가볍기를 기원하지 마라. 등이 더 튼튼해지길 기원하라."

시어도어 루스벨트 (Theodore Roosevelt)

노션 (Notion)

나만의 디지털 서재 만들기

노란섬 2021. 3. 30. 19:56
728x90

예전에는 그동안 읽어오고, 모아왔던 책들로 멋진 내 서재를 갖는 게 로망인 분들이 많으셨을 겁니다. 지금도 물론 인테리어 요소로 근사한 서재를 두고 계신 분이 많으실 겁니다.

 

요즘 젊은 층들은 많이 이동이 잦습니다. 여행도 많이 다니고, 직장인인 분들은 집이나 사무실보다 공유 오피스를 즐겨 이용하죠. 계속 여행을 다니며 노트북으로 돈을 버는 디지털노마드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여행을 갔거나, 집이 아닌 곳에서 업무를 할 때, 책에서 본 '그 부분'이 떠오르는데, 뚜렷이 떠오르지 않아 그 책을 다시 펼쳐보고 싶은 기분을 느끼실겁니다. 그럴때마다 저는 집에라도 가고 싶은 기분이 들었는데요...디지털 서재는 이런 간지런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줍니다.

노션으로 나만의 디지털 서재를 만들어, 언제 어디서든 봤던 부분을 쉽게 찾아내고, 아날로그 서재 못지 않은 '쌓는 재미'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우선 서재가 될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어줘야겠죠. +버튼으로 새 페이지를 만들어줍니다.

 

데이터베이스는 갤러리를 선택해줍니다.

 

페이지 제목을 입력해주고, 디지털 서재에 걸맞는 아이콘을 삽입해줍니다. 저는 super.so/icons 이곳에서 책 아이콘 주소를 복사해 넣어주었습니다.

 

위 사이트는 아이콘을 클릭만 하면 복사가 되기 때문에, 노션에서 그대로 붙여넣기 (Ctrl or Cmd v)를 해주시면 아이콘이 삽입됩니다.

 

보기 추가를 눌러 갤러리 보기로 보기를 추가해줍니다. 책의 표지가 보이도록 해주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저는 갤러리 보기를 사용합니다. 그 외에 보기들은 텍스트만 보여주기 때문에, 서재로써 직관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갤러기 보기의 이름을 Economy로 해주었습니다. 이 보기에서는 이제 경제관련 도서만 보여주도록 후에 필터를 추가해줄 것입니다.

 

빈 페이지 중 하나를 눌러, 책의 이름을 기입해주고, 태그->카테고리로 이름을 변경해줍니다. (카테고리를 다중선택으로 해준 것은, 책의 타입이 두 가지 분야를 다루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중 선택으로 해주었습니다.) 

 

카테고리에는 책의 타입을 기입해줍니다. (경제, 철학, 인문학, 음악, 과학) 

 

필터를 만들어줍니다. Economy라는 카테고리 값을 포함하는 것만을 보여지게 한다. 그러면 아까 만든 제로 이코노미만 보여지게 될 것입니다.

 

yes24에서 책 표지를 복사해서, 붙여줍니다. (yes24 사이트가 표지 선명도가 젤 좋습니다.)

 

속성에 들어가 페이지 콘텐츠 미리보기, 이미지 맞추기를 토글 on 해줍니다.

 

하나가 쌓였습니다! 이렇게 하나하나씩 쌓아가시면 됩니다. 필터를 적용한 Economy 보기에서는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 때마다 자동으로 Economy 카테고리가 적용되기 때문에,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 때마다 카테고리를 선택해주는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각 분야의 책을 '보기'로 나누어, 위와 같이 필터를 적용하여, 분야별 책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아까 만든 과학, 철학 카테고리도 이처럼 '과학 보기' '철학 보기'를 만들어 해당 책만 보일 수 있게 필터를 적용해 주면 됩니다.

 

더 나아가

저는 보기를 분야별로 나누었고, 각 보기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을 모두 해주었습니다. 맨 위에 All이란 보기는 아무런 필터를 적용하지 않은 갤러리 보기로써, 누르면 어떤 분야에 책이든 상관없이 모두 보여지게 됩니다.

 

정렬은 현재 상태에 따라 읽고 있는 것, 다 읽은 것, 나중에 볼 것 등으로 분류한 'Status' 속성을 이용했습니다. 아래에 속성은 페이지가 만들어진 때로, 가장 최근 만든 페이지가 상위에 뜨게 만들었습니다.

 

'읽고 있는 것, 리스트, 나중에 볼 것'순으로 책이 정렬됩니다.

 


처음 만들 때는 조금 어려우실 수 있지만, 어렵게 배운 것은 머리에 각인된다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한번 만들어보시면, 기능들을 익히면서 더 나만의, 커스텀 디지털 서재를 구축하실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